반응형
📅 헷갈리는 한국어 시간·날짜 표현, 한 방에 정리해드립니다!
한국어에서 시간 표현과 날짜 세는 방법은 일상 회화나 시험 공부에서 자주 등장하지만,
막상 정확히 기억하려면 헷갈리기 쉽죠?
오늘은 깔끔한 표와 함께 ‘과거·현재·미래 표현’과 ‘날짜 세는 말’을 정리해드릴게요!
⏳ 과거/현재/미래 표현, 헷갈릴 땐 이렇게 정리하세요!
우리는 일상 대화에서 자주 "그저께", "모레", "글피" 같은 말을 쓰는데요
기준일이 '오늘'일 때와 기준일이 특정한 날일 때 표현이 조금 달라집니다.
✔ 기준이 '오늘'일 때
| 과거 | 그끄저께 | 오늘로부터 3일 전 |
| 과거 | 그저께 | 오늘로부터 2일 전 |
| 과거 | 어제 | 오늘로부터 1일 전 |
| 현재 | 오늘 | 바로 지금 |
| 미래 | 내일 | 오늘로부터 1일 후 |
| 미래 | 모레 | 오늘로부터 2일 후 |
| 미래 | 글피 | 오늘로부터 3일 후 |
| 미래 | 그글피 | 오늘로부터 4일 후 |
👉 예를 들어, 오늘이 6월 15일이라면,
‘모레’는 6월 17일
‘그저께’는 6월 13일이 되는 셈입니다!
✔ 기준이 '특정한 날'일 때
특정한 날을 기준으로 말할 때는 ‘그 전날’, ‘그 날’, ‘그 다음날’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 그 전날 | 전일 | 시험 전날 복습은 필수! |
| 그 날 | 당일 | 행사 당일에는 일찍 오세요 |
| 그 다음날 | 익일 | 택배는 익일 도착 예정입니다 |
💡 참고: '어제', '오늘', '내일'은 현재 시점 기준,
'그 전날', '당일', '익일'은 특정 사건이나 일정 기준이라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날짜를 한국어로 세는 전통 표현
한국어에서는 날짜를 셀 때 고유어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어요.
특히 전통 행사나 문학 작품 속에서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 초순 (1일~10일)
| 1일 | 하루 |
| 2일 | 이틀 |
| 3일 | 사흘 |
| 4일 | 나흘 |
| 5일 | 닷새 |
| 6일 | 엿새 |
| 7일 | 이레 |
| 8일 | 여드레 |
| 9일 | 아흐레 |
| 10일 | 열흘 |
👉 예: “사흘간 여행을 다녀왔어요.” → ‘3일간’을 의미
🔹 중순 (11일~20일)
| 11일 | 열하루 |
| 12일 | 열이틀 |
| 13일 | 열사흘 |
| 14일 | 열나흘 |
| 15일 | 보름 |
| 16일 | 열엿새 |
| 17일 | 열이레 |
| 18일 | 열여드레 |
| 19일 | 열아흐레 |
| 20일 | 스무날 |
👉 ‘보름달’은 음력 15일 밤의 둥근 달에서 유래된 표현입니다.
🔹 하순 (21일~30일)
| 21일 | 스무하루 |
| 22일 | 스무이틀 |
| 23일 | 스무사흘 |
| 24일 | 스무나흘 |
| 25일 | 스무닷새 |
| 26일 | 스무엿새 |
| 27일 | 스무이레 |
| 28일 | 스무여드레 |
| 29일 | 스무아흐레 |
| 30일 | 그믐 |
👉 ‘그믐달’은 음력 30일 밤, 달이 거의 안 보이는 시기를 뜻합니다.
💡 마무리 TIP
‘그저께’와 ‘모레’처럼 일상 속에 자주 쓰이는 시간 표현,
‘사흘’, ‘보름’, ‘그믐’처럼 고유어 날짜 표현까지!
이 두 가지를 익혀두면 더 정확하고 풍부한 한국어 표현이 가능해집니다.
시험 준비할 때도, 일상 회화할 때도 유용하니 즐겁게 암기해 보세요!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