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수능 응시생 & 출생아 수 한눈에 보기 (1994~2024 데이터 정리)

반응형




연도별 수능 응시생 수 & 출생아 수 변화  

수능 응시생 수 변화표

 

1994 (1차) 742,668명 716,326명 1974년생 첫 수능 시행
1994 (2차) 750,181명 726,634명 2차 수능
1995 781,749명 757,488명 1976년생  
1996 840,661명 809,867명 1977년생  
1997 824,374명 795,338명 1978년생  
1998 858,313명 854,272명 1979년생 역대 최다 응시
1999 865,306명 854,837명 1980년생  
2000 887,120명 868,366명 1981년생  
2001 872,297명 850,305명 1982년생  
2002 739,129명 718,441명 1983년생  
2003 675,922명 655,384명 1984년생  
2004 674,154명 642,583명 1985년생  
2005 610,257명 574,218명 1986년생  
2006 593,806명 554,345명 1987년생  
2007 588,899명 551,884명 1988년생  
2008 595,248명 553,588명 1989년생  
2009 592,348명 559,475명 1990년생  
2010 677,834명 638,216명 1991년생  
2011 712,227명 668,991명 1992년생  
2012 693,631명 646,946명 1993년생  
2013 668,522명 611,336명 1994년생  
2014 650,747명 606,813명 1995년생  
2015 640,621명 594,835명 1996년생  
2016 631,187명 585,332명 1997년생  
2017 605,987명 552,297명 1998년생  
2018 593,527명 531,327명 1999년생  
2019 594,924명 530,220명 2000년생  
2020 548,734명 484,732명 2001년생  
2021 493,433명 421,034명 2002년생  
2022 509,821명 448,138명 2003년생  
2023 508,030명 447,669명 2004년생 재학생 308,284명
2024 (추정) 약 510,659명 약 410,000~419,000명 2005년생 홍문록 추정치




출생아 수 변화표

 

1970 1,006,645명 1989학년도 베이비붐 세대
1980 862,835명 1999학년도  
1990 649,738명 2009학년도  
2000 640,089명 2019학년도  
2001 559,934명 2020학년도  
2002 496,911명 2021학년도  
2003 495,036명 2022학년도  
2004 476,958명 2023학년도  
2005 438,707명 2024학년도 황금돼지해
2006 451,759명 2025학년도  
2007 496,822명 2026학년도 일시적 증가
2008 465,892명 2027학년도  
2009 444,849명 2028학년도  
2010 470,171명 2029학년도  
2011 471,265명 2030학년도  
2012 484,550명 2031학년도  
2013 436,455명 2032학년도  
2014 435,435명 2033학년도  
2015 438,429명 2034학년도  
2017 357,771명 2036학년도  
2018 326,822명 2037학년도  
2019 302,676명 2038학년도  
2020 272,400명 2039학년도  
2021 260,500명 2040학년도  
2022 249,000명 2041학년도 사상 최저치

 

수능 응시생 수 변화 흐름

대한민국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응시생 수는 1990년대 중반부터 꾸준히 감소세를 보여왔습니다.
1994학년도 1차 수능에는 약 74만 명이 실제 응시했지만,
그 이후 1990년대 후반에는 80만 명을 넘나들며 최고점을 찍었습니다.

  • 1996학년도: 809,867명
  • 1999학년도: 854,272명
  • 2000학년도: 868,366명

이후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급격한 감소세가 이어졌습니다.
특히 2005학년도에는 57만 명대로 내려앉으며, 불과 5년 만에 30만 명 가까이 줄었습니다.

2020년대 들어 수능 응시생 수는 다시 40만 명대에 진입했습니다.

  • 2021학년도: 421,034명
  • 2023학년도: 447,669명
  • 2024학년도(추정): 41만~42만 명대

이는 출생아 수 감소와 인구 절벽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출생아 수 변화 - 인구 절벽의 시작

출생아 수는 1970년에 100만 명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지만,
이후 점차 감소하기 시작했습니다.

  • 1970년: 1,006,645명
  • 1980년: 862,835명
  • 1990년: 649,738명
  • 2001년: 559,934명

특히 2002년 이후부터는 50만 명 이하로 급감하며 저출산 시대가 본격화되었습니다.
2005년 이후에는 40만 명대, 2017년에는 35만 명,
그리고 2022년에는 24만 9천 명까지 떨어졌습니다.

📉 2022년 출생아 수 24만 9천 명은
향후 2041학년도 수능 응시 세대에 해당하며,
현재의 절반 이하 수준으로 수험생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능 응시생 수와 출생아 수의 상관관계

출생아 수와 수능 응시생 수는 약 18~19년의 시차를 두고 밀접하게 연동됩니다.

예를 들어,

  • 2004년 출생자 → 2023학년도 수능 응시
  • 2005년 출생자 → 2024학년도 수능 응시 예정


이 관계를 통해 보면,
앞으로 2040년대에는 수능 응시생이 20~30만 명 수준으로 급감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이는 대학 입시 구조의 대대적인 개편, 학과 통폐합, 지방대 정원 미달 등의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대학 구조조정의 현실적 시그널


현재 수험생 수 감소는 이미 대학 현장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수도권 대학은 여전히 경쟁률이 높지만,
  • 지방대학은 정원 미달 및 폐교 위기에 직면한 곳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4학년도부터는 지방대 구조조정, 정원 감축, 캠퍼스 통합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교육부의 재정 지원 평가 및 대학 구조개혁도 인구 변화에 맞춰 조정될 예정입니다.



앞으로의 전망

 

2019 302,676명 2038학년도 약 35만 명
2020 272,400명 2039학년도 약 32만 명
2021 260,500명 2040학년도 약 30만 명
2022 249,000명 2041학년도 약 28만 명 이하


이 수치는 대한민국 교육과 입시 환경의 대전환기를 예고합니다.

지금의 초등학생 세대가 수능을 치를 무렵에는,
“경쟁보다 선택의 시대”로 변할 가능성이 크며
대학 진학률, 전공 구조, 직업교육 시스템 전반의 변화가 불가피합니다.



정리하자면…

  • 1990년대 중반 수능 응시생 약 80만 명 → 2024학년도 약 40만 명
  • 1970년 출생아 100만 명 → 2022년 24만 명
  • 불과 50년 만에 절반 이하로 인구 축소


이제는 단순한 저출산이 아니라 교육, 산업, 사회 시스템 전체의 재편기에 진입했습니다.

“수능 응시생 수 변화”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대한민국 미래 인구 구조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